10년 10억 모으기 프로젝트의 일원으로
1년 8000만원 모으기를 시작합니다!
누군가에게는 얼마 안 되는 돈일 수도 아니면 큰 돈일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저에겐 너무 큰 돈입니다.
1년 8000만원 모으기 프로젝트를 2020년부터 시행하고 있었는데 지금까지 모은 돈을 투자하여
대략 10억이라는 돈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그 과정도 자세히 추후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이제 새롭게 2025년부터 2035년까지 10년 장기 프로젝트로 10억을 저축하도록 하겠습니다.
1년에 8000만원씩 10년이면 8억이라 10억이 되지 않습니다.
다행이 공무원은 1년에 조금씩 월급이 오르기 때문에 저축액도 조금씩 늘려갈 수 있을듯 합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모아갈까 합니다.
연도(1~12월) | 목표 연 저축액 | 목표 누계 |
2025년 | 8000만원 | 8000만원 |
2026년 | 8400만원 | 1억 6400만원 |
2027년 | 8820만원 | 2억 5220만원 |
2028년 | 9261만원 | 3억 4481만원 |
2029년 | 9724만원 | 4억 4205만원 |
2030년 | 1억 210만원 | 5억 4415만원 |
2031년 | 1억 720만원 | 6억 5135만원 |
2032년 | 1억 1256만원 | 7억 6391만원 |
2033년 | 1억 1819만원 | 8억 8210만원 |
2034년 | 1억 2410만원 | 10억 620만원 |
10억을 맞추기 위해 연 저축액을 매년 5%씩 늘렸습니다.
아마 공무원 월급인상이 5%가 된 적이 별로 없어서 ㅠㅠ(최근 20년간 평균 인상률 2.65%...)
조금 힘든 숫자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목표가 너무 쉬워도 동기부여가 되지 않을 것 같아 괜찮은 것 같습니다.
위의 10억이라는 숫자는 투자 수익, 이자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순수 저축액을 의미합니다.
<주의 사항>
저는 가계부를 작성할 때 단순히 쓴 비용만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한 달이 시작하기 전에 예산을 편성하고 거기에 맞게 지출하였는지를 평가하는 용도로 활용합니다.
월별 가계부는 17일부터 다음달 16일까지를 기간으로 합니다.(17일이 월급날이기 때문!)
1. 지난 달 지출 결산
먼저 작년 2024년 12월의 지출 계획입니다.
저는 지출을 기본 지출과 이벤트 지출로 나누어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기본 지출이라고 하면 식비, 외식 등 한 달 동안 반복되어 사용되는 꼭 필요한 비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지출은 세금이나 여행 등 매달은 아니지만 한번씩 지출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2024년 기본 지출 예산은 195만원이었는데 11월부터 205만원으로 인상하였습니다.(물가 상승..ㅡㅜ)
그리고 이벤트 비용으로 겨울 여행(100만원), 크리스마스(10만원)을 추가로 배정하였습니다.
결과는.... -91만원이네요... 시작부터 처참합니다 ㅠㅠ
왜 그런 것인지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식비(-5,360원): 양호
2) 외식&배달(-271,200원)
- 이번 겨울여행으로 서울을 갔다왔습니다. 하지만 예산에 외식 비용을 따로 잡지 않았네요 ㅠㅠ 그리고 연말 식사, 그리고 제 생일 식사 비용 등도 예산으로 따로 잡지 않아서 마이너스가 크게 나왔습니다.
3) 교육비 등(74,700원): 양호
4) 보험, 관리비(+31,794원): 양호
5) 육아 등(+142,070원): 양호
6) 이벤트 비용(-789,272원)
- 일단 겨울 숙박 및 기차비용으로 100만원이 사용되어 예산에 맞게 지출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비용으로 고향사랑 기부제(20만원), 항공권 취소 수수료(15만원), 경조사 비용(50만원)이 지출되었습니다.
고향사랑기부제와 경조사비용은 어쩔 수 없는 비용이라 하더라도 항공권 취소 수수료는 정말 아깝습니다 ㅠㅠ
7) 총평
☆ -91만원으로 마이너스가 크지만, 연말식사(10만원), 생일식사(10만원), 서울여행 식사(10만원), 고향사랑기부제(20만원), 부모님생신(20만원)의 예산을 미리 편성했다면 60만원을 줄일 수 있었고 항공권 취소 수수료(15만원)와 예상치 못한 경조사비용(30만원)을 생각한다면 오히려 정해진 예산에 아낀 생활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수입
1월, 7월은 정근수당이 나오는 달로 기본 호봉의 50%의 보너스가 나오는 달입니다. 그리고 1월말에 설날이 있어 명절 보너스도 같이 들어왔습니다 ^0^ (나중에 부부 교사의 소득에 대해서도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 강타님: 기본 389만원 + 보너스 467만원 = 857만원
- 아내: 기본 336만원 + 보너스 396만원 = 733만원
- 총 수입: 1,590만원
3. 지출 예상
이번달 추가 예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여행 비용 (15만원), 결혼기념일 식사(10만원), 서울여행 활동(15만원), 자동차세(51만원), 부모님생신(20만원), 설날(80만원), 제사(10만원)
- 기본 245만원 + 추가지출 210만원 = 455만원
▶ 수입 1,590만원 - 지출 455만원 = 저축 예정 금액 1,135만원
1월 저축금액: 1,135만원
2025년 현재 총 저축금액: 1,135만원

'10년 10억 모으기 프로젝트(월별 가계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2월 가계부 개요(누계 저축액: 1,794만원) (0) | 2025.02.21 |
---|---|
돈을 모으는 방법(재태크의 알파이자 오메가) (0) | 2025.02.20 |
400억 부자가 되는 여정 (0) | 2025.01.16 |
2025년 재무 목표 (0) | 2025.01.15 |
10년 10억 모으기 프로젝트 시작합니다!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