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주식 포트폴리오(투자 기록)

무한매수법이란?(By 라오어)

by 강타님 2025. 1. 28.

 
라오어의 미국주식 무한매수법
하는 것일까? 손해가 계속해서 누적된다면 늦게라도 손절해야 하는 걸까? 바로 여기에 무한매수법의 특별함이 있다. 무한매수법은 원금을 몇 회로 쪼개서, 어떤 종목에, 언제 매수하고 매도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알려주는 투자법이다. 저자 라오어는 수많은 백테스트를 통해 안정적으로 연간 20%의 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무한매수법을 개발했고, 실제로 무한매수법으로 투자해서 얻은 월 2,000만 원에 달하는 수익을 ‘매달’ 인증하며 단숨에 미국주식 커뮤니티에서 네임드
저자
라오어
출판
알키
출판일
2021.06.02

 

미국주식을 하는 사람들 중에 위 책의 저자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듯 합니다.

2020~2021년 미국 주식이 대상승장일 때 나타나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2022~2023년 역사적인 대하락장에서는 많은 비판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2024년 상승장에서 다시 환호를 받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그 말 많던 [무한매수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사실 무한매수법은 이름부터 사람들의 오해를 사기 쉬웠습니다.

무한매수법에서 '무한'이라고 할 만큼 매수한다는 것인데..

정확히는 40거래일 동안 매수한다는 것입니다.(그래서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이름을 '40분할 매수법'으로 정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자신이 무한매수법에 투자할 금액을 40분의 1로 나누어서 1거래일마다 매수(LOC)하는 것입니다.

VR에 비해 매우 간단합니다.

매수는 그렇다치고 매도는 어떻게 할까요?

더 쉽습니다. 자신의 평단가의 10%오른 가격에 매도(LOC)를 걸면 됩니다.

끝!

정리하자면

1. 자신의 투자금을 40분의 1로 나누어서 매일 매수

2. 자신의 평단가의 10%만큼 오른 가격에 매일 전체 매도

이것만 알고 있어도 무한매수법의 80%는 이해하신 겁니다.

쉽게 말하자면 자신의 투자금을 나누어서 분할 매수를 하고

하루에도 15~20%씩 상승하는 3배 레버리지ETF의 변동성을 이용하여 10% 매도로 이익을 취하는 구조입니다.

좀 더 자세히 매수, 매도 방법을 알아봅시다.

1. 매수 방법

1) 무한매수법을 처음 시작할 때는 1/40만큼 아무시간에 매수하면 됩니다.

프리장이나 특정 시점, LOC 매수 등 정말 아무 시간에...(어차피 저점은 못잡아요..)

2) 둘째 날부터는 내 평단가로 그날 매수해야하는 금액의 절반 만큼 LOC매수를 걸고

나머지 금액은 시장가의 15%이상 가격으로 LOC매수를 겁니다.

- 이렇게 하는 이유는 평단가로 LOC매수를 하면 평단가보다 오를 경우 매수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시장가의 15%이상의 LOC매수의 경우는 왠만하면 매수를 한다는 것입니다.

- 이렇게 하면 상승장일 때 매수 물량이 적어서 +10%이상이 될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 만약 상승장일 때 매수 물량이 많으면 그만큼 평단가가 높아져서 +10%가 되기 힘들어진다는 뜻입니다.

3) 만약 지금처럼 대폭락장이어서 자신이 평단가보다 시장가가 많이 낮은 경우는 그냥 전부 평단가 LOC매수를 해도 됩니다.

4) 단가에 따라 매수 수량이 달라지므로 잘 계산을 해야 합니다.

5) 이것을 소진될 때 까지 매일 합니다.

2. 매도 방법

1) 매일 자신의 평단 대비 10% 수익지점에 전체를 LOC, 지정가 매도를 걸어둡니다.

- LOC, 지정가는 취향에 따라 선택하세요. 어느 것이 더 좋을 지는 그 때 그 때 다릅니다.

2) 10% 넘어서 전부 매도되면, 다시 시작


그런데 여기서 어떤 문제상황이 생길 수 있냐면

40번동안 매수를 했는데 10% 상승한 상황이 오지 않는 경우입니다.(지금 같은 경우입니다.)

그러한 경우를 막기 위해 추가로 알고 있어야 하는 개념이 있는데

바로 [RSI] 지표입니다.

이는 최근 20거래일 동안 얼마만큼 주식이 올랐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70이 넘어서면 많이 오른 것이고 30이하면 많이 떨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무한매수법에는 RSI지표를 통해 시작 시점을 정합니다.

즉, 자기 마음대로 시작하면 안됩니다.

RSI지표가 왜 중요하냐면 RSI지표가 높을 때 시작하면 그만큼 40회 소진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여러 백테스팅을 통해 3배 레버리지 ETF의 가능 RSI를 다음과 같이 구했습니다.

출처: 라오어의 무한매수법&밸류리밸런싱 카페

해당 ETF의 RSI지수가 위의 표보다 높을 때는 가급적 무한매수법을 시작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저는 예전에 TQQQ의 RSI지표가 75이상일 때 무한매수법을 시작해보았습니다.

그리고는 40회가 전부 소진되었고 그리고 추가로 100일이 지나서야 매도가 되었습니다. ㅠㅠ

그 일이 있고는 될 수 있으면 RSI지표가 기준치보다 많이 낮을 때 무한매수법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저렇게 RSI지표에 따라 무한매수법을 시작하였음에도 40회 소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원칙적으로 40회 소진이 되면 그냥 뒤도 안 돌아보고 일괄 매도(손절)를 하는 것입니다.

그냥 이번에는 손해가 났군이라고 받아들이셔야 합니다.

만약 나는 물타기로 어떻게든 버텨볼거야라고 생각하신다면

그 결과가 대박이거나 쪽박이 됨을 받아드리셔야 합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40회 소진후 손절을 못해서 -70~80%의 손해가 나는 상황을 정말 많이 보았습니다.)

그런데 지금 카페에서는 무한매수법 후 40회 소진이 될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25% 손절]입니다.

왜냐하면 전체 손절하기에는 망설여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자신의 원래 금액의 25%에 해당하는 금액만 매도하는 것이 [25% 손절 = 쿼터손절법]입니다.

예를들어 총 시드 10,000$로 무한매수법을 한다고 가정한다면

1회 매수에 40분의 1인 250$씩 매수를 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40회 소진이 끝난 후, 평가금은 10,000$보다 부족할 것입니다.

-20%라고 가정하면 평가금은 8,000$로 이중에 원래 10,000$의 25%인 2,500$만큼 매도를 합니다.

그러면 평가금은 5,500$만큼 줄게되고 현금이 2,500$가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다시 250$씩 10회 무한매수법을 하게 됩니다.

10회의 추가 매수와 전체 평가금이 줄어든 것으로 인해 평단가는 빠르게 내려가게 되며, 다시 반등하여 주가가 오르면 그만큼 10% 매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무한매수법 + 손절
무한매수법 + 쿼터손절
총 시드
10,000$
10,000$
시작
TQQQ단가 = 50$
50$*5=250$
TQQQ단가 = 50$
50$*5=250$
40회
TQQQ단가 = 30$
내 평단가 = 40$
매수금: 40$ * 250개 = 10,000$
평가금: 30$ * 250개 = 7,500$
TQQQ단가 = 30$
내 평단가 = 40$
매수금: 40$ * 250개 = 10,000$
평가금: 30$ * 250개 = 7,500$
손절
-2,500$
평가금: 7,500$-2,500$ = 5,000$
현금: 2,500$
결과
다시 무한매수법 시작
10회 추가 무한매수법

그러면 쿼터손절을 하면 장점이 무엇일까요?

40회 소진 후 존버를 하면 해당 주식이 10% 구간이 올때까지 얼마나 기다려야 할 지 모릅니다. 그리고 얻을 수 있는 수익은 10%입니다.

하지만 쿼터손절을 하면 10%구간이 더욱 빨리 옵니다. 그래서 빨리 다시 무한매수법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론상 존버를 하는 것이 가장 수익이 좋습니다. 그리고 손절을 할 수록 수익은 떨어지게 됩니다. 40회 소진 후 전체 손절을 하는 것이 가장 수익률이 좋지 않습니다.

그러면 존버를 하는 것이 맞지 않냐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버틸 수 있는 정도가 사람마다 다르다는 점입니다.

(그럼 문제없군 나는 버틸 수 있어라고 자신하지 마십시오. 저는 무한매수법 카페에서는 손실로 인해 고통 받는 사람들을 많이 봐왔습니다. ㅠㅠ)

2010년부터 2022년 3월까지 무한매수법 백테스팅을 해보면 최대 202일의 존버기간이 나옵니다.

물론 앞으로 더 긴 기간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202일이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시간인데 참고로 2022년 3월부터 무한매수법을 해온 저는 가장 긴 진행일수가 139일이었습니다. 

아무리 많은 시간이 걸린다고 하더라도 버틴다면 가장 높은 수익을 거두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무한매수법의 가장 큰 장점을 잃게 되는 것입니다.

맨처음 설명드렸던 대로 무한매수법은 단기 수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장기 수익은 VR(밸류리밸런싱)으로 거둡니다.

무한매수법도 존버를 하게 된다면 이는 VR을 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분할 매수도 하지 않고 몰빵 투자하면 가장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위험도 높아집니다.

지금같은 하락장에서 몰빵 투자를 했다면 그 심적인 고통은 매우 클것이며 아마 곧 투자를 그만둘 가능성이 높습니다.

존버를 통해서 버티다 보면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겠지만 자신의 모든 것을 투자하고도 계속 하락하는 상황은 반드시 일어납니다. 그리고 그 때는 버틸 수가 없습니다.​

 

우리는 투자를 오랫동안 해야 합니다.

장기투자가 좋다는 것은 이제 누구나 아는 상식이 되었습니다.

그러면 장기투자를 힘들게 하는 요소들을 최대한 배제하도록 투자 설계를 해야 합니다.

무한매수법은 단기투자로 수익을 바로 실현하는 것에 목적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