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한 실력에 ETF분석을 시작하고자 합니다.
저보다 더욱 뛰어난 투자가는 밤하늘의 별처럼 많으시겠지만 본 자료를 보고 도움이 0.1라도 되는 투자자가 조금이라도 있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분석을 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제 스스로의 공부를 위함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어 틀린 내용이 있더라도 너그럽게 바주시길 바랍니다.
저는 ETF를 볼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3가지 있습니다.
첫째, 자산총액
둘째, 평균 거래량
셋째, 보수
위의 3가지 관점을 중점으로 생각할 것이고 그 외에도 관심을 가질만한 사항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
기준일: 2025년 1월 25일
1. 기본 개요
분석내용
|
|||||
발급사
(Issuer) |
Charles Schwab
|
상표
(Brand) |
Schwab
|
시작일
|
2011.10.20.
|
분류
(Category) |
대형주 혼합 주식
|
방식
(Structure) |
ETF
|
추종지수
(Index Tracked) |
Dow Jones U.S.Dividend 100 Index
|
개요
|
|
첫 번째로 분석하게 될 ETF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ETF를 선정했습니다.
바로 배당성장 ETF의 대명사인 SCHD입니다.
한국인에게 정말 사랑받는 ETF입니다. 국민연금은 불안정하고 불안한 노후를 책임져줄 수 있는 희망같은 느낌입니다.
2011년부터 시작되어 역사도 적당히 오래되었고 찰스 슈왑에서 발급한 최고의 인기 ETF입니다. 고배당을 지급하는 미국 대형주에 투자하며 구준히 배당을 늘려온 기업들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습니다.
2. 가격(자산총액) 및 거래량
주가
(자산총액) |
52주 최저
|
현재 주가
|
52주 최고
|
$24.41
|
$28.07
($ 676억) |
$29.45
|
|
월 평균 거래량
|
16,008,970 건
|
제가 중요하게 여기는 자산총액은 676억 달러(우리돈 98조 정도)입니다. 엄청난 금액이지요.. 우리나라 기업 중 비슷한 규모로는 LG에너지솔루션(82조) 정도 될 듯 합니다.
월 평균 거래량도 무려 1600만건이 넘어 거래가 안되어서 걱정할 것을 없을 듯합니다.

현재 가치는 52주 최고에 살짝 떨어졌다가 다시 반등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기본적으로 변동성이 그렇게 큰 ETF가 아닙니다. 조금씩 성장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기본적으로 SCHD는 장기 투자에 적합한 상품임으로 단기적인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장기 수익 또한 배당을 통한 수익이 주를 이루는 상품임으로 단기 주가 차익 실현은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 배당
배당
(Dividend) |
최근 배당금
|
최근 배당일
|
연간 배당금
|
배당 수익률
|
$ 0.26
|
2024-12-11
|
$ 0.99
|
3.64%
|
|
보수(Expenses Ratio)
|
0.06%
|
배당은 연간 0.99달러가 되어 배당수익률은 3.64%입니다.
최근 주가가 주춤하여 배당수익률이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SCHD는 배당수익률이 3~3.5% 사이를 왔다갔다 합니다. 만약 3%보다 낮다면 주가가 높다고 볼 수 있으며 3.5%보다 높은 상황이라면 주가가 평소보다 낮은 상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당 ETF에 연간 지급되어야 할 보수는 0.06%로 매우 저렴한 편입니다.
SCHD의 경우는 매년 배당을 늘리는 종목을 담고 있어 현재의 배당보다 미래의 배당이 점점 커지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SCHD를 배당성장ETF라고 말합니다.
2024년을 결산하니 배당성장을 12.23%의 두 자릿수 성장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2023년은 역대 SCHD 사상 최저의 배당성장률을 보여주기도 하였습니다.(3.77%)
참고로 2022년(13.90%), 2021년(10.88%), 2020년(17.64%), 2019년(19.79%)를 기록 중입니다.
4. 보유목록

보유목록(상위 15가지 종목)은 위와 같습니다. 배당을 많이 주는 것으로 유명한 종목들이 많이 보입니다.
시스코, 화이자, 코카콜라, 세브론, 암젠, 블랙락, 록히드마틴, 홈디포, 펩시, 버라이즌 등
5. 수익률(Performance)

위의 표는 시점을 언제로 했을 때 지금 현재 나의 수익률을 보여줍니다.
YTD는 2023년을 의미하며, 1 year Return은 지금으로부터 1년 전의 수익률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3,5년의 수익률은 연평균 수익률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즉, 5년 수익률 11.02%라고 하면 5년동안 매년 연평균 11.02%의 성장을 했다는 것입니다.
대단한 성과입니다.
물론 이러한 수익률은 배당금을 재투자했다고 가정했을 때의 수익률입니다.
6. 나의 생각
지금까지 SCHD에 대한 분석이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저의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의 생각
|
<매수 이유>
|
|
|
||
<보류 이유>
|
||
|
사실 현재 저는 미국 계좌에 SCHD를 모으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연금저축계좌에서 SOL미국배당다우존스를 모으고 있습니다. (현재 가치 13,275,000원, 1125주 보유)
하지만 예전 투자 계획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저는 목표 금액에 도달하면 현재 제가 주로 투자하고 있는 레버리지 ETF를 SCHD로 전환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때까지 SCHD가 지금처럼 좋은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하겠습니다.

#ETF, #ETF분석, #ETF추천아님